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매거진

이건 좀 흥미로울껄?

게시판 상세
흥부 뺨에 묻은 밥풀에 비밀이 있다?!
2023년 03월 09일

흥부 뺨에 묻은 밥풀에 비밀이 있다?!

 

흥부가 며칠째 굶고 있는 식구들에게 먹일 밥을 좀 얻어 보려고 놀부네 집으로 찾아갔다.

마침 저녁밥을 차리고 있던 놀부 아내는 밥을 구걸하는 흥부의 뺨을 밥풀 묻은 주걱으로 인정사정없이 돌려쳤다.

싸다귀를 맞은 흥부는 뺨에 묻은 밥풀을 만져보고는 밥풀이라도 조금만 더 얻고자 반대쪽 뺨을 내밀며 형수에게 한 대만 더 때려달라고 부탁했다.

인심 사나운 놀부 아내는 그 밥풀마저도 아까워 주걱을 깨끗이 씻은 채 흥부의 반대쪽 뺨을 때렸다. 

밥풀을 더 얻지 못한 흥부는 풀이 죽어 집으로 되돌아왔다.

 

흥부와 놀부 이야기에 숨어있는 과학적 사실을 알아보도록 하자.

 

 

쌀은 왜 끈적거릴까?

쌀은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두 가지 종류의 녹말을 함유하고 있고 쌀의 종류마다 아밀로스와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다릅니다. 

이 함량의 차이는 밥의 질감, 푹신푹신한지 크림색인지 끈적거릴지 등을 결정하죠. 

 

 

아밀로스는 요리하는 동안 젤라틴화되지 않는 길고 곧은 녹말 분자입니다.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곡물은 조리하면 밥알이 서로 붙지 않습니다.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긴 모양의 쌀은 일반적으로 높은 양의 아밀로스(약 22%)와 적은 양의 아밀로펙틴을 가지고 있어요.

 

아밀로펙틴은 쌀을 젤라틴처럼 만들고 끈적이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복잡한 가지 구조의 녹말 분자입니다. 

아밀로펙틴이 많이 들어간 밥은 일단 익히면 매우 끈적끈적 해집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달걀 모양의 쌀은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아밀로스와 가장 높은 수준의 아밀로펙틴을 포함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주로 먹는 쌀은 녹말의 조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될까?

 

우리는 주로 아밀로스의 함량이 16~21%로 높은 멥쌀과 아밀로펙틴만으로 구성된 찹쌀을 먹습니다. 

 

멥쌀과 찹쌀은 쌀알의 투명한 정도로 보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멥쌀은 투명한데 비해 찹쌀은 뽀얗게 불투명합니다. 벼 알이 여무는 시기에 메벼는 잘 여물어서 말린 다음에도 쌀이 투명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찰벼는 벼 알이 메벼와 거의 비슷하게 여물기는 하지만 녹말 속에 아밀로스 분자가 채워져야 할 장소에 물이 차 있다가 쌀알이 마르게 되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그곳에 매우 작은 수많은 틈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빛에 의해 난반사가 일어남으로써 뽀얗게 보입니다.

 

<출처 : 농업진흥청>


찹쌀은 멥쌀에 비해 엿기름을 넣어 식혜를 만들 때 빨리 단맛을 내는 맥아당을 만들어내며 유과와 같은 기름 튀김 과자를 만들 경우 부드럽게 잘 튀겨져서 아삭아삭한 맛이 좋습니다. 

그러나 떡국이나 증편과 같은 떡은 찹쌀로 만들면 잘 풀어지고 부풀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멥쌀로 만들어 합니다. 

찹쌀이냐 멥쌀이냐 우리 선조들이 음식을 만들 때 쌀 종류를 자연스럽게 선택했던 것에도 다 과학적인 이유가 있었네요.  


흥부가 뺨에 맞았던 밥풀은 얼굴에 찰싹 달라 붙었던 것으로 보아 아마도 낮은 함량의 아밀로스와 높은 수준의 아밀로펙틴을 포함한 쌀이었지 않을까 싶네요.



게시글 신고하기

신고사유

신고해주신 내용은 쇼핑몰 운영자의 검토 후 내부 운영 정책에 의해 처리가 진행됩니다.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